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기계일반

2018년03월24일 20번

[과목 구분 없음]
수면에 떠 있는 선체의 저항 측정시험과 풍동실험을 통해 자동차 공기 저항 측정시험을 하고자 한다. 이때 모형과 원형 사이에 서로 역학적 상사를 이루려면 두 시험에서 공통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무차원수는?

  • ① 마하수(Ma)
  • ② 레이놀즈수(Re)
  • ③ 오일러수(Eu)
  • ④ 푸루드수(Fr)
(정답률: 64%)

문제 해설

정답: 레이놀즈수(Re)

설명: 레이놀즈수는 유체의 운동 상태를 나타내는 무차원수로, 유체의 밀도, 속도, 점성 등의 물성과 모형의 크기, 속도 등의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. 따라서 수면에 떠 있는 선체의 저항 측정시험과 풍동실험에서 측정된 레이놀즈수가 자동차 공기 저항 측정시험에서 적용될 경우, 모형과 원형 사이에 서로 역학적 상사를 이룰 수 있다. 다른 무차원수들은 자동차 공기 저항 측정시험과는 관련이 적거나 전혀 없기 때문에 선택지에서 제외된다.
이전 문제
다음 문제
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

연도별

진행 상황

0 오답
0 정답